분류 전체보기71 NodeJS post 이용하여 데이터 생성하기 const express = require('express'); const bodyParser = require('body-parser'); const { randomBytes } = require('crypto'); console.log(randomBytes(4).toString('hex')); const app = express(); app.use(bodyParser.json()); const posts = {}; app.get('/posts', (req, res) => { res.send(posts); }); app.post('/posts', (req, res) => { const id = randomBytes(4).toString('hex'); const { title } = req.body; p.. 2022. 11. 21. 자바스크립트 프라미스 all(), race(), allSettled() and any() get3Apis() 라는 함수를 통해서 api를 연달아 3번 호출하였다 위의 코드는 api를 한번 한번 호출 시 병렬적으로 처리되는게 아닌 순차적오 1, 2, 3을 하나 하나 받아오게된다 순차적으로 받오는게 아닌 병렬로 한번에 api를 호출하고 싶으면 Promise.all() 을 사용하면 된다 배열에 호출 중 하나라도 실패하면 값을 받지 못하니 이를 주의해서 사용하도록 하자 그러면 위의 코드를 병렬처리로 바꾸어보자 Promise.all() const get3APis = async function (c1, c2, c3) { try { const data = await Promise.all([ getJSON(`https://official-joke-api.appspot.com/random_joke`), ge.. 2022. 11. 21. 초콜레티(Chocolatey) 설치하기 THE PACKAGE MANAGER FOR WINDOWS Modern Software Automation Chocolatey는 윈도우용 패키지 매니저이다 설치 후 virtualbox 등 명령어로 간단하게 install 할 수 있다 https://chocolatey.org/install Installing Chocolatey Chocolatey is software management automation for Windows that wraps installers, executables, zips, and scripts into compiled packages. Chocolatey integrates w/SCCM, Puppet, Chef, etc. Chocolatey is trusted by busines.. 2022. 11. 17. [타입스크립트] 콜백 함수를 받는 법 함수의 콜백 타입(Callback Type)은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자 function add(n1: number, n2: number, cb: (number : number) => void) { const result = n1 + n2; cb(result); } function printConsole(result) { console.log(result); } add(1, 3, printConsole); cb 라는 파라미터 변수명을 지어주고 타입이 함수임을 설정한다 () => 리턴형태 -> printConsole의 함수에 return이 없으니 void를 명시해주는 것' 위에서는 cb : () => void 설정했으니 이 parameter는 함수이며 void 값을 리턴할꺼야를 말해준다 리턴값이 numbe.. 2022. 11. 16. [타입스크립트] 함수 Function 타입 우리는 지금까지 함수의 parameters나 함수가 반환하는 값에 대해서 타입을 지정하는 것을 보았다 이번에는 함수 타입(Function Type)을 알아보자 function add(n1: number, n2: number) { return n1 + n2; } let combineValues; combineValues = add; console.log(combineValues(3, 4)); // 7 let combineValues 를 선언하고 함수 add를 할당해주면 우리는 combineValues를 add와 동일하게 사용한다 그러면 도중에 combineValues에 5를 넣어주면 어떻게 될까 ? function add(n1: number, n2: number) { return n1 + n2; } let.. 2022. 11. 16. [타입스크립트] 함수 void, undefined 타입 함수 타입을 지정할떄 void 타입이 있다 void는 빈 공간, 무효의 등 없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void 타입은 뜻처럼 함수가 번환하는 값이 존재하지 않을떄 사용할 수 있다 function add(n1: number, n2: number){ return n1 + n2; } function printNumber(number : number) { console.log('Result', number); } printNumber(add(3, 12)) add라는 함수를 숫자 2개를 더하고 그 값을 console.log()로 출려하고 있다 printNumber라는 함수는 return 하는 값이 없는데 이떄 우리는 void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function printNumber(number : number).. 2022. 11. 15. 이전 1 ··· 7 8 9 10 11 12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