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네트워크(Network)2

[라즈베리파이-raspberrypi] 외부에서 웹서버 접속하기 sudo apt install nginx 를 통해 nginx 먼저 다운로드를 진행합니다 라즈베리파이 ip(할당받은 내부 ip) 를 검색해 nginx가 정상적으로 나오는지 확인합니다 내부에서는 정상적으로 나오는지 확인했으니 언제 어디서나(외부) 연결할 수 있도록 만들어보자 ssh 연결처럼 포트포워딩 하나를 더 추가해야한다 포트번호(외부) 설정 후 다른 네트워크의 기기에서 url에 : 외부i + 포트번호(외부) 를 입력해주면 된다 -> 22.12.22.12:8000 네트워크를 분리하기 위해서 핸드폰으로 접속하면 아래 화면이 짠 단짠단짠 2022. 12. 5.
[라즈베리파이-raspberrypi] SSH 접속하기 기기에 연결된 공유기의 설정을 통해 어디서나 ssh 로 접속할 수 있게 환경을 적용했다 SSH 설정 1. 라즈베리리파이가 할당받은 공유기 IP 를 확인하세요 2. 공유기의 네트워크 관리자 모드에 들어가주세요 --> (기본 게이트웨이 정보를 찾아서 들어가세요 ) 접속불가 시 공유기에 따라 포트 입력 필요 3. 접속 후 포트포워딩 설정 내부 IP 주소 -> 라즈베리파이 IP 프로토콜 : TCP 포트번호(외부) : 임의설정 포트번호(내부) : 임의설정 고정 아이피 할당: on/off 시 마다 고정된 IP 를 설정하는 부분 Known port of SSH : 22 Putty 를 이용하여 접속 포트번호에 포트포워딩 설정 시 입력한 포트번호(내부) 정보 입력 Host Name(or IP address) : 외부 I.. 2022. 12. 4.